마르쿠스 카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카처는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ASK 에를라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과 SK 라피트 빈에서 뛰었으며, 라피트 빈 소속으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두 번 우승했다. 2003년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UEFA 유로 2008에 참가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스트 비엔나 FC의 축구 선수 - 루카스 힌터제어
오스트리아 축구 선수 루카스 힌터제어는 FC 바커 인스브루크에서 프로 데뷔 후 독일 2. 분데스리가를 거쳐 울산 현대를 통해 K리그에 진출했으나 반 시즌 만에 유럽으로 복귀, 현재 한자 로스토크에서 뛰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청소년 대표를 거쳐 유로 2016에 국가대표로 참가했고 알파인 스키 선수 에른스트 힌터제어의 손자이자 가수 한시 힌터제어의 조카이다. - 퍼스트 비엔나 FC의 축구 선수 - 토도르 베셀리노비치
토도르 베셀리노비치는 유고슬라비아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월드컵과 올림픽에 참가했고, 감독으로서는 페네르바흐체 SK를 이끌고 쉬페르리그 우승,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을 이끌고 UEFA 유로에 참가했다. -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의 축구 선수 - 마르코 엘스네르
마르코 엘스네르는 슬로베니아 출신으로 OGC 니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등에서 활동한 축구 수비수이며, 츠르베나 즈베즈다에서 리그 및 컵 우승, 유고슬라비아 국가대표로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고, 은퇴 후에는 축구 선수 가족으로 명성을 얻었다. -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의 축구 선수 - 이비차 바스티치
크로아티아 출신으로 오스트리아 국적을 취득한 이비차 바스티치는 공격수로 활약하며 SK 슈투름 그라츠에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 2회 등을 이끌었고,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50경기 출전, 유로 2008 최고령 득점 기록 경신 등의 업적을 남긴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현 축구 감독이다. - 오스트리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대회에 재참가하여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3위를 기록, 과거 "분데르테암"으로 불리며 유럽 축구 강호였으나 쇠퇴기를 거쳐 UEFA 유로 2020에서 첫 토너먼트 진출을 달성했으며 헝가리와 오랜 라이벌 관계를, 현재는 독일과 주요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 오스트리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 루카스 힌터제어
오스트리아 축구 선수 루카스 힌터제어는 FC 바커 인스브루크에서 프로 데뷔 후 독일 2. 분데스리가를 거쳐 울산 현대를 통해 K리그에 진출했으나 반 시즌 만에 유럽으로 복귀, 현재 한자 로스토크에서 뛰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청소년 대표를 거쳐 유로 2016에 국가대표로 참가했고 알파인 스키 선수 에른스트 힌터제어의 손자이자 가수 한시 힌터제어의 조카이다.
마르쿠스 카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마르쿠스 카처 |
출생일 | 1979년 12월 11일 (44세) |
출생지 | 빈, 오스트리아 |
키 | 1.86m |
포지션 | 수비수 |
등번호 | 16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연도 | 1998–2000 |
유소년 클럽 | ASK 에를라 |
클럽 연도 | 2000–2004 |
클럽 | 아드미라 바커 |
출장 (골) | 91 (12) |
클럽 연도 | 2004–2013 |
클럽 | 라피트 빈 |
출장 (골) | 216 (19) |
클럽 연도 | 2013–2015 |
클럽 | 아드미라 바커 |
출장 (골) | 44 (3) |
클럽 연도 | 2015–2020 |
클럽 | 퍼스트 비엔나 |
출장 (골) | 29 (6) |
클럽 업데이트 | 2016년 7월 7일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연도 | 2003–2008 |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
국가대표팀 출장 (골) | 11 (0) |
국가대표팀 업데이트 | 2008년 8월 21일 |
2. 클럽 경력
마르쿠스 카처는 ASK 에를라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아드미라 바커로 이적했다. 2004년까지 그곳에서 레프트 백으로 뛰었다.
마르쿠스 카처는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에서 2004년까지 활약하다가 라피트 빈으로 이적했다. 라피트 빈에서 그는 두 번의 리그 우승(2005, 2008)과 챔피언스리그 출전 경험을 쌓았다. 그는 주로 레프트 백이나 좌측 중앙 수비수를 맡았다.
2. 1.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
마르쿠스 카처는 ASK 에를라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아드미라 바커로 이적했다. 2004년까지 그곳에서 레프트 백으로 뛰었다.2. 2. SK 라피트 빈
마르쿠스 카처는 FC 아드미라 바커 뫼들링에서 2004년까지 활약하다가 라피트 빈으로 이적했다. 라피트 빈에서 그는 두 번의 리그 우승(2005, 2008)과 챔피언스리그 출전 경험을 쌓았다. 그는 주로 레프트 백이나 좌측 중앙 수비수를 맡았다.3. 국가대표팀 경력
마르쿠스 카처는 2003년 8월 코스타리카와의 친선 경기에서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유로 2008에 참가했다.
4. 경력 통계
wikitext
마르쿠스 카처의 클럽 경력은 다음과 같다.
구단 | 시즌 | 리그 | 컵 | 리그컵 | 유럽 | 합계 | |||||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아드미라 바커 | |||||||||||
2000-01 | 1 | 0 | 0 | 0 | 0 | 0 | 0 | 0 | 1 | 0 | |
2001-02 | 27 | 1 | 0 | 0 | 0 | 0 | 0 | 0 | 27 | 1 | |
2002-03 | 33 | 4 | 1 | 1 | 0 | 0 | 0 | 0 | 34 | 5 | |
2003-04 | 31 | 7 | 2 | 0 | 0 | 0 | 0 | 0 | 33 | 7 | |
2013-14 | 20 | 2 | 1 | 0 | 0 | 0 | 0 | 0 | 21 | 2 | |
합계 | 112 | 14 | 4 | 1 | 0 | 0 | 0 | 0 | 116 | 15 | |
라피트 빈 | |||||||||||
2004-05 | 31 | 4 | 1 | 1 | 0 | 0 | 4 | 0 | 36 | 5 | |
2005-06 | 13 | 0 | 1 | 0 | 0 | 0 | 2 | 0 | 16 | 0 | |
2006-07 | 28 | 2 | 0 | 0 | 0 | 0 | 0 | 0 | 28 | 2 | |
2007-08 | 17 | 3 | 0 | 0 | 0 | 0 | 4 | 0 | 21 | 3 | |
2008-09 | 19 | 1 | 3 | 0 | 0 | 0 | 2 | 0 | 24 | 1 | |
2009-10 | 26 | 4 | 3 | 0 | 0 | 0 | 12 | 0 | 41 | 4 | |
2010-11 | 32 | 1 | 4 | 1 | 0 | 0 | 9 | 1 | 45 | 3 | |
2011-12 | 27 | 1 | 3 | 0 | 0 | 0 | 0 | 0 | 30 | 1 | |
2012-13 | 23 | 2 | 2 | 0 | 0 | 0 | 7 | 1 | 32 | 3 | |
합계 | 216 | 18 | 15 | 2 | 0 | 0 | 40 | 2 | 273 | 22 | |
통산 합계 | 328 | 32 | 19 | 3 | 0 | 0 | 40 | 2 | 389 | 37 |
마르쿠스 카처의 국가대표팀 경력은 다음과 같다.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골 |
2003 | 1 | 0 |
2004 | 1 | 0 |
2005 | 4 | 0 |
2006 | 1 | 0 |
2007 | 3 | 0 |
2008 | 1 | 0 |
합계 | 11 | 0 |
4. 1. 클럽
마르쿠스 카처의 클럽 경력은 2014년 6월 16일까지의 기록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구단 | 시즌 | 리그 | 컵 | 리그컵 | 유럽 | 합계 | |||||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아드미라 바커 | |||||||||||
2000–01 | 1 | 0 | 0 | 0 | 0 | 0 | 0 | 0 | 1 | 0 | |
2001–02 | 27 | 1 | 0 | 0 | 0 | 0 | 0 | 0 | 27 | 1 | |
2002–03 | 33 | 4 | 1 | 1 | 0 | 0 | 0 | 0 | 34 | 5 | |
2003–04 | 31 | 7 | 2 | 0 | 0 | 0 | 0 | 0 | 33 | 7 | |
2013–14 | 20 | 2 | 1 | 0 | 0 | 0 | 0 | 0 | 21 | 2 | |
합계 | 112 | 14 | 4 | 1 | 0 | 0 | 0 | 0 | 116 | 15 | |
라피트 빈 | |||||||||||
2004–05 | 31 | 4 | 1 | 1 | 0 | 0 | 4 | 0 | 36 | 5 | |
2005–06 | 13 | 0 | 1 | 0 | 0 | 0 | 2 | 0 | 16 | 0 | |
2006–07 | 28 | 2 | 0 | 0 | 0 | 0 | 0 | 0 | 28 | 2 | |
2007–08 | 17 | 3 | 0 | 0 | 0 | 0 | 4 | 0 | 21 | 3 | |
2008–09 | 19 | 1 | 3 | 0 | 0 | 0 | 2 | 0 | 24 | 1 | |
2009–10 | 26 | 4 | 3 | 0 | 0 | 0 | 12 | 0 | 41 | 4 | |
2010–11 | 32 | 1 | 4 | 1 | 0 | 0 | 9 | 1 | 45 | 3 | |
2011–12 | 27 | 1 | 3 | 0 | 0 | 0 | 0 | 0 | 30 | 1 | |
2012–13 | 23 | 2 | 2 | 0 | 0 | 0 | 7 | 1 | 32 | 3 | |
합계 | 216 | 18 | 15 | 2 | 0 | 0 | 40 | 2 | 273 | 22 | |
경력 합계 | 328 | 32 | 19 | 3 | 0 | 0 | 40 | 2 | 389 | 37 |
4. 2. 국가대표팀
wikitable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골 |
2003 | 1 | 0 |
2004 | 1 | 0 |
2005 | 4 | 0 |
2006 | 1 | 0 |
2007 | 3 | 0 |
2008 | 1 | 0 |
합계 | 11 | 0 |
5. 수상
마르쿠스 카처는 SK 라피트 빈 소속으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서 2회 우승을 차지했다. (2005,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